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파이썬 TypeError
- 나는 어디로?
- 다주택임대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내장함수
- Google vs OpenAI
- 주택임대사업자
-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이썬 라이브러리
- Google vs MicorSoft
- bard 100% 신뢰금지
- 주상복합용지 분양
- 상업시설용지 분양
- 데이터 리터러시
- 공개서적
- 임대소득외 추가소득이 있을 경우
- chatgpt vs bard
- 라이브러리 vs 패키지
- PostgreSQL
- 전세보증보험
- robux
-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이썬 패키지
- 오피스텔투자
- 갤럭시탭 with Pen
- 종합과세
- 가장 인기있는 파이썬 라이브러리
- chatgpt 100% 신뢰금지
- 가장 인기있는 파이썬 패키지
- 종합소득세
- 2룸 오피스텔 투자
- Python
- 소형주택 세액감면
목록분류 전체보기 (501)
All thing of the world!
데이터 표준화가 그렇게 중요한가요? 데이터 표준화 중요합니다. 하면 좋습니다. 잇점이 분명 존재합니다. * 데이터 표준화란 엔터티명/속성명을 논리 표준에 맞게, 테이블명/컬럼명을 물리 표준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뜻합니다. 데이터 값값 자체를 표준하는게 아닙니다. 메타 정보를 표준화하여 관리하는 것이죠. 그러나 이젠 데이터관리체계에서의 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과 어느 정도의 중요도를 주고 관리할 것인가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봐야 할 때입니다. 맹목적으로 구축하는 데이터 표준화 전사 데이터관리체계안에서 콘텐츠를 이루는 부분 중에 하나라서, (전사)데이터관리체계를 도입하는 기업은 100% 데이터 표준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사)데이터관리체계를 도입해서 데이터 표준화를 적용하고 있는 조직에 묻겠습니다. 데..
1. 함수의 목적 Oracle SYS_EXTRACT_UTC는 인수로 들어온 datetime에서 UTC를 추출한다. 타임존이 지정되지 않은 datetime값이 들어왔을 경우 세션의 시간대 값을 참고하여 반환한다. 2. 샘플을 통한 개념 퀵뷰 SELECT SYS_EXTRACT_UTC(SYSTIMESTAMP) RT FROM DUAL; RT --------- 2021-05-08 03:03:46 3. 사용방법 4. 함수 PARAMETER 설명 [dateime_with_timezone] 타임존이 포함된 datetime 형식으로 입력한다. 5. 다양한 샘플표현 ▶▶ Oracle DBMS 내장함수 모음 : atotw.tistory.com/category/IT/Oracle%20DBMS
1. 함수의 목적 Oracle SESSIONTIMEZONE은 현재 접속한 세션의 타임존(Time Zone) 값을 반환한다. 리턴값은 오프셋(offset '[+|-]TZH:TZM') 이나 타임존의 이름으로 반환된다. 2. 샘플을 통한 개념 퀵뷰 SELECT SESSIONTIMEZONE DUAL; SESSIONTIMEZONE --------- Asia/Seoul 3. 사용방법 4. 함수 PARAMETER 설명 없음 5. 다양한 샘플표현 ▶▶ Oracle DBMS 내장함수 모음 : atotw.tistory.com/category/IT/Oracle%20DBMS
1. 함수의 목적 Oracle ORA_DST_ERROR는 데이터베이스의 타임존 데이터 파일을 변경할 때 사용하며 인수로 들어온 부분 중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아래와 같이 알 수 있다. 0: 인수로 지정한 datetime_exprdp 오류가 없음 1878: 인수로 지정한 datetime_expr에 "nonexisting time" 오류가 있음 1883: 인수로 지정한 datetime_expr에 "duplicate time" 오류가 있음 2. 샘플을 통한 개념 퀵뷰 SELECT ORA_DST_AFFECTED(SYSTIMESTAMP) RT DUAL; RT --------- 0 3. 사용방법 4. 함수 PARAMETER 설명 [dateime_expr] datetime 형식으로 입력한다. 5. 다양한 샘플표..
1. 함수의 목적 Oracle ORA_DST_CONVERT는 데이터베이스의 타임존 데이터 파일을 변경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함수로, 두번째, 세번째 인수로 에러핸들링이 가능하다. 에러가 없을 경우 datetime_expr에서 지정한 형식의 값과 동일한 값이 반환된다. 2. 샘플을 통한 개념 퀵뷰 SELECT ora_dst_convert(SYSTIMESTAMP, 0, 0) RT DUAL; RT --------- 2021-05-08 10:48:12 3. 사용방법 4. 함수 PARAMETER 설명 [dateime_expr] datetime 형식으로 입력한다. [integer] - 선택적 인수 첫번째 integer에는 0 혹은 1을 지정가능하며, 0을 지정하면 "duplicate time"을 억제하며 1을 지..
1. 함수의 목적 Oracle ORA_DST_AFFECTED는 데이터베이스의 타임존 데이터 파일을 변경할 때 사용한다. 성공시 1, 실패시 0을 반환한다. 2. 샘플을 통한 개념 퀵뷰 SELECT ORA_DST_AFFECTED(SYSTIMESTAMP) RT DUAL; RT --------- 1 3. 사용방법 4. 함수 PARAMETER 설명 [dateime_expr] datetime 형식으로 입력한다. 5. 다양한 샘플표현 ▶▶ Oracle DBMS 내장함수 모음 : atotw.tistory.com/category/IT/Oracle%20DBMS
1. 함수의 목적 Oracle DBTIMEZONE는 데이터베이스의 타임존(Timezone)값을 반환한다. 2. 샘플을 통한 개념 퀵뷰 SELECT DBTIMEZONE FROM DUAL; DBTIME --------- +00:00 3. 사용방법 4. 함수 PARAMETER 설명 없음 5. 다양한 샘플표현 ▶▶ Oracle DBMS 내장함수 모음 : atotw.tistory.com/category/IT/Oracle%20DBMS
티스토리 개설 이후 애드고시를 염두하지 않고 시작했다면 거짓말이고... 빨리 애드고시를 꼭 통과해서 광고수익을 거두겠다는 욕심은 없었습니다. 사회봉사 활동 목적과 향후 노후에 뭔가 목적을 가질만한 소일거리로 시작했다고나 해야 할까요? 글쓰기와 정리를 좋아하는 편이고, 내가 정리한 글을 내가 참고할 수도 있고, 내가 경험한(보고, 느끼고, 맛보고, 경험한) 것을 소개할 수 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으로 시작했습니다. 방문자가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 한 분이라도 글을 보고 도움이 되신 분들이 있으면 그것으로 만족한다는 생각 쯤으로 티스토리를 시작했습니다.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구글에서 adsense 신청 안내 메일이 와 있었습니다. 신청하라고? 그래서 신청했습니다. 정말 아무 생각 없이.. 아직..
1. 함수의 목적 Oracle NLS_COLLATION_NAME는 함수에 인자로 들어온 expr의 Collation 명를 반환한다. Collation ID는 딕셔너리 테이블과 OCI(Oracle Call Interface)에서 사용된다. 입력한 collation 번호가 부정확하면 null을 반환한다. * 콜레이션(Collation) 이란? CHAR, VARCHAR, TEXT 등의 문자열 Datatype에는 문자셋(Character set)과 콜레이션(Collation) 속성이 있으며, 콜레이션은 문자셋(Character set)과 다른게 '정렬' 에 관한 지정값 2. 샘플을 통한 개념 퀵뷰 SELECT NLS_COLLATION_NAME(208897) FROM DUAL; NLS_COLLATION_NAME(..
제목 : 데이터관리체계(Data Governance) 이해와 구축방안 저자 : Worldseeker 저작권 : 포스팅하단 저작권 표시 준수 바랍니다. 사내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관리 기반(데이터 거버넌스, 데이터 관리체계, Data Governance) 구축을 준비하려는 기업이나 현재 운용하는 기업이 점점 늘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조차도 작년 12월에 데이터기반행정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Data driven 행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Data-Driven Decision 업무 환경 조성을 위한 데이터 관리체계 도입 전략은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지 데이터 관리체계란 무엇인지 설명하겠습니다. * The adjective data-driven means that progress i..